반응형 파이썬6 [프로그래머스/Lv.0] 조건문자열 (python/eval함수)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193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풀이 전략 ) 계산을 해야하는데 문자열과 함께 입력받아야 하는 경우 파이썬의 eval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eval()은 곱셈(*), 나눗셈(/) 등의 수식이 문자열로 들어와도 연산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이다. 1. 리스트에 원하는 수식의 순서대로 저장 후 eq의 상태에 따라 if 분기문(eq != '!'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을 사용한다. 2. 각 분기문에 따라 문자열.. 2023. 7. 4. [프로그래머스/Lv.0] 접두사인지 확인하기(python)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1906 풀이 전략 ) 접두사 리스트 "prefix_list"를 만들고, 입력받은 is_prefix가 prefix_list 안에 존재하면 1을 리턴하고 아닌 경우 0을 리턴한다. def solution(my_string,is_prefix): prefix_list = [] # 1. prepix 후보 저장 for i in range(len(my_string)): prefix_list.append(my_string[:i+1]) # 2. 입력받은 prefix와 비교 if is_prefix in prefix_list: return 1 else : return 0 2023. 7. 4. [leetcode/1472번] BrowserHistory 문제 링크 https://leetcode.com/problems/design-browser-history/ Design Browser History - LeetCode Can you solve this real interview question? Design Browser History - You have a browser of one tab where you start on the homepage and you can visit another url, get back in the history number of steps or move forward in the history number of steps. Implem leetcode.com 문제에서 주어진 코드 베이스 라인은 다음과 같다. class .. 2023. 7. 3. [자료구조] LinkedList 구현(append, append_at, romove_at, get ) Linked List란? 노드(Node)라는 구조체가 연결되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노드(Node)란? 관리할 데이터를 보관하는 곳, 일반적으로 LinkedList에서의 각 노드는 데이터값(value)와 다음 주소값(next)로 구성 왜 노드는 위와 같이 2개의 구성을 필요로 할까? 이유는 간단하다. 연속적 메모리 할당이 되는 배열(파이썬의 list자료구조)와는 다르게 물리적으로는 비연속적으로 할당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 노드마다 주소값(next)를 가지고 있기에 각 노드는 다음 노드를 가리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각각의 노드들은 논리적으로 연속이 된다. 노드의 구현은 다음과 같다. class Node: def __init__(self, value = 0, next = None): .. 2023. 7. 3. [22하]사출품 양품판별 데이터 분석-1 1. 문제 정의 클래스(G/NG)를 나누는 게 목적이 아님. 그래서 분류 모형을 써서 테스트하는건 의미가 없을 것 같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피처를 찾아 해당 피처의 범위 최적 범위값을 제공하는 것. 이게 목적임 2. 해결방안(1차) 그럼 어떻게 해볼까? 1. 두 집단으로 보이는 것 분류한다 현재 데이터가 극과 극에 있는 양상을 보이므로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샘플링을 해본다. 이에 따른 상관계수와 같은 기술통계량을 찾아본다. 2. 데이터 불균형 ->오버 샘플링을 하든 별도의 샘플링이 필요하다 2. 각각의 G/NG 분포를 보고 Corr 또는 로지스틱 회귀 진행 3. 차원이 줄어들었다면 biplot을 이용하여 현재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는 피처를 선택한다. (피처 수가 10 이하로 줄었을것) 피처수가 아직도.. 2022. 10. 20. [쉽게 배우는 통계학] 필요 표본의 수 추측통계학은 오차라는 것을 생각해야한다! 어떻게든 일부를 조사해서 전체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게 연구하는 것이 목적! 연구자가 표본을 조사할 때는 대개 얼마나 많은 숫자를 조사하는 것일까? 기준이 있을까? 이상적인 건 모집단을 100으로 했을 때 표본 수 80정도를 조사하면 그 나름대로 정확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모집단이 많을 수록 필요한 표본의 수도 늘어나지만 모집단이 10,000을 넘으면 그렇게 많이 할 필요는 없다. 다만 이건 일반적인 이야기일 뿐. 예를 들어 설문조사를 할때 샘플이 400개라면 표본 오차를 5% 미만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들 하지. 하지만 설문의 목적이나 신뢰도를 얼마나 높이느냐에 따라 필요한 표본수는 달라짐. 동물실험에서는 표본수가 적어도 괜찮다. (그런데 연구 분야에 따.. 2022. 7. 10. 이전 1 다음 반응형